금리가 높아지면서 파킹통장의 금리도 덩달아 올라갔었는데, 최근에 높아졌던 파킹통장의 금리들이 조금씩 바뀌어서 여유돈들을 옮기는 과정에서 어떤 파킹통장이 지금 현재 이율이 가장 좋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파킹통장 금리 비교 진행하면서 나도 새로 가입한 은행도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금융권 및 인터넷 은행 파킹통장 (우대금리 포함)
1금융권에서는 일반적으로 고금리를 주는 아주 일부 있거나 거의 없고, 대부분 인터넷 은행에서 파킹통장 상품을 제공합니다.
하나은행 : 머니박스 통장 / 3.0 % (300만원 한도)
SC제일은행 : 마이100통장 / 3.0 % (100만원 한도)
케이뱅크 : 플러스 박스 / 2.3 %
카카오뱅크 : 세이프박스 / 2.2 %
토스뱅크 : 토스뱅크 통장 / 2.0 %
이번달 1금융권에는 금리가 전체적으로 3% 밑으로 내려가 있는 상태라서 파킹통장으로 추천할만한 상품이 없어보입니다. 그냥 주거래 은행에 자동이체가 걸리는 부분이 있다면 위 은행 중에서 하나 골라서 선택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보이나 소액 또는 진짜 잠깐 돈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저축은행 파킹통장 (우대금리 포함)
2금융권 저축은행에서는 최근에 일부 은행에서 공격적으로 금리는 올리는 경우가 많이 생긴 것 같습니다.
OK저축은행 : OK읏백만통장 II / 5.0 % (100만원 한도), 3.5 % (500만원 한도)
다올저축은행 : Fi 커넥트 통장 / 4.0 %
NH저축은행 : NH FIC-One 보통예금 / 3.8 %
KB저축은행 : kiwi팡팡통장 / 3.5 %
고려저축은행 : 보고파 파킹통장 / 3.35 %
웰컴저축은행 : WELCOME 직장인 사랑 보통예금 / 3.2 %
이전에 상당히 높은 금리를 제공했던 웰컴저축은행이 금리를 많이 내리면서 순위가 많이 내려간 상태이지만 여전히 높은 금리를 주고 있고, 의외로 다올저축은행이 4% 대 금리를 주면서 새롭게 순위권이 올라왔습니다. OK저축은행도 높은 금리를 주고 있지만 100만원 초과 금액은 3.5%까지 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일부 금액은 다올저축은행으로 옮겨서 둘까 생각중입니다.
증권사 CMA
CMA 통장의 경우 RP와 발행어음형으로 나눠지지만 일단 RP형을 기준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미래에셋증권 : CMA RP_네이버통장 / 3.55 % (1000만원 이하)
SK증권 : 행복나눔CMA / 3.5 %
다올투자증권 : CMA / 3.45 %
...
한국투자증권 : CMA / 3.1 %
KB증권 : CMA / 3.0 %
삼성증권 : CMA / 3.0 %
NH투자증권 : QV CMA / 2.5 %
일단 기본적으로 대부분 3% 넘는 금리를 주고 있는 부분이 확인됩니다만 흔히 많이들 쓰시는 대형증권사의 경우에는 3% 또는 그 이하로 나와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 정도면 꽤 높은 이자율이고, 특히나 이자를 매일 입금해주기 때문에 돈이 불어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1금융에 두시는 것보다는 꽤 짭잘한 이자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결론
저의 경우에는 기존에는 웰컴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 파킹통장에 킾해놓은 금액이 많았는데, 이번달에 파킹통장 금리 비교를 진행하면서 OK저축은행, 다올저축은행, 미래에셋 네이버통장 등으로 한도만큼 금액을 분산하였습니다. 이 글 읽으시는 분들도 소중한 내돈 이자 한푼이라도 더 주는 은행 찾으셔서 자산 불리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