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치폴레 이야기에 이어서 이번에는 맥도날드 주식에 관하여 얘기해볼까 한다.
아무래도 식음료 주식의 특성상, 물가 상승에 따라서 제품 가격도 상승하고 그에 따라서 주가도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보여진다. 옷이나 자동차, 다른 사치품들은 인플레이션 등으로 경기가 불황이면 아무래도 지갑을 닫아서 소비를 줄이는 형태를 보이지만, 식품은 아무래도 필수소비재에 해당하기 때문에 아무리 불경기가 와도 사람들이 3끼 먹을 것을 2끼만 먹는다던지 이렇게 바뀌지는 않고, 비싼 스테이크 대신에 저렴한 햄버거를 먹기도 하는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식음료 주식은 불황에 강하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특히나 맥도날드의 경우에는 대표적인 패스트푸드에 저렴한 가격을 내세우는 형태의 식음료주에 해당하기 때문에 오히려 불황에 강하고, 불황이 아니어도 좋은 형태의 주식이 아닐까 싶다.
맥도날드는 어떤 기업인가?
굳이 구체적인 정보는 나열하지 않더라도 전세계 모르는 사람이 없는 대표적인 햄버거 패스트푸드 체인점이다.
전세계에 매장만 총 37,000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루에 6000만명이 방문한다고 한다.
탄생 비화는 영화로도 만들어져 있는데, 레이 크록이라는 사람이 맥도날드 형제가 운영하던 햄버거 가게를 프랜차이즈화 하면서 만들어진 기업이다. 나도 그 영화를 매우 감명깊게 봤는데, 돈은 레이 크록이 다 벌고, 맥도날드 형제는 이름만 빌려주고 exit 한 것이 참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래도 맥도날드 덕분에 싸고 맛있는 햄버거를 전세계 어디서나 먹을 수 있게 되어서 다행이랄까
자꾸 옆으로 새는 소리를 하게 되는데, 개인적으로 과거에는 빅맥이나 상하이 치킨 버거 같은 스테디 셀러를 자주 먹었는데, 최근에는 쿼터파운더치즈버거에 한창 꽂혀있다. 두툼한 패티에 씹는 맛까지 더해서 육식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맛있게 먹을 수 밖에 없는 조합이니 말이다. 그래서 이렇게 보면 맥도날드는 굉장히 오래된 기업이지만 아무래도 젊은 층을 유혹해야 하기 때문에 트렌드에 민감하게 신메뉴와 광고모델을 쓰는 것이 아닌가 한다. 한국에서는 BTS, 최근에는 뉴진스까지 광고모델로 쓰고 있으니 말이다.
맥도날드 주식에 관하여
현재 뉴욕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MCD 라는 이름으로 조회할 수 있다. 현재 1주에는 267.13불 (3월 8일 기준)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시총은 우리나라돈으로 약 258조에 달한다. 우리나라 증시에서는 비교할만한 주식이 삼성전자 말고는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큰 사이즈의 회사다.
최근 3년간의 재무재표를 보면 20년에서 21년까지는 매출액 상승이 도드라졌으나, 21년과 22년 사이에는 정체 또는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최근 1년간의 주가흐름을 봤을 때에는 약 20% 가량의 상승이 있었으며 (물론 큰폭으로 하락한 구간도 나온다), 작년 12월 이후로는 박스권에서 계속 유지하고 있는 흐름이 나온다.
이러한 흐름이 나오는 계기로는 아무래도 인플레이션 문제를 빼놓을 수 없다. 기본적으로 식음료주는 기본적으로 인플레이션 수혜주라고 볼 수도 있는데, 물가가 오르면 기본적으로 제품가격도 그에 맞춰서 오르게 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느정도의 인플레이션은 긍정적인 상승을 유발하지만 최근의 인플레이션은 너무 높기 때문에 주머니를 닫는 효과(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플러스 임직원의 임금 상승, 재료비 상승이 겹쳐서 아무래도 어려운 시기에 도달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도날드 주식은 비교적 안정적인 상승을 보여줘 왔으며, 특히나 배당수익률과 그에 맞춘 배당인상으로 배당금 2.3%가량을 지급하는 것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이라 볼 수 있다. 이 배당 수익에 원천은 매장에서 발생하는 수익이라기 보다는 부동산 투자와 그 임대료에서 가져오는 부분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세차익을 생각하고 접근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손해없이 투자하고 싶은, 배당주 투자자 관점에서는 하나의 포트폴리오로 구성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개인적으로도 아주 극소량 투자하고 있지만 꾸준히 잘되는 기업이기에 눈여겨 보고 있는 중이다.
'주식 이야기 > 해외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인들이 사랑하는 치폴레 Chipotle 와 주식에 관하여 (0) | 2023.02.22 |
---|---|
요즘 핫한 ETF, JEPI에 대해서 (0) | 2023.02.21 |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주가 전망, 클라우드의 공룡으로 성장한 IT 대표기업, Azure 및 Microsoft365, 틱톡 인수 가능성 (0) | 2020.08.29 |
스포티파이 Spotify 주가 전망,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공룡, 한국 진출 여부 (0) | 2020.08.29 |